
<프로그램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야자와 히사오, 김현옥, 보누스
* 출판사 협찬도서를 받아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전기로만 동작하는 컴퓨터 안에서 수많은 연산이 이루어지고 이제는 인공지능까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니 컴퓨터의 작동원리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개인적으로 개발자를 하고 싶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기본 학습 과목으로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네트워크를 권하고 있다.
경험 상 최소한 이 세 가지 과목만이라도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면 프로그래머로서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내가 강조하던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에 대한 기본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원리를 그림으로 설명해주는 책이다.
우리는 늘상 상용하는 컴퓨터지만 사실 컴퓨터라는 계산기로 수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은 무척이나 신기하고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이 집약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양자컴퓨터가 실현되면 달라지겠지만 기본적으로 컴퓨터는 2진법으로 동작하는 기계이다. 2진법은 사실 컴퓨터가 전기신호로 동작하는 기계라서 컴퓨터의 특성에 맞춰 선택된 것이지만 지금은 2진법으로 복잡한 수학은 물론 수많은 장치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전되어 2진법 체계가 무너진다면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가 등장해야 하고 수많은 계산법이 다시 정립되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 기다리고 있다.
그런 면에서도 양자컴퓨터가 현실화되는 것은 쉬운 과정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컴퓨터가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지금까지 폰노이만이 제안한 구조를 그대로 가져가고 있는데 중심에 중앙처리장치(CPU)가 있고 입출력기기와 저장장치로 구성된 이 구조는 사실 이제는 기본 구조만으로 설명하기엔 꽤 많은 구성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황이 되었다.
그럼에도 기계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레지스터라는 하드웨어적인 명령장치들이 존재하고 이런 레지스터를 통해 기계어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다양한 연산과 제어가 이루어 진다는 점은 달라지지 않고 있다.
심지어 GPU를 이용해 AI 학습을 별도로 진행하는 과정조차 GPU가 행렬구조에 대한 연산을 병렬적으로 CPU처럼 동작하는 것이지 전혀 새로운 형태의 연산이라고 보긴 어렵다.
바이브 코딩이 개발자의 일손을 많이 덜어주면서 주니어 개발자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신규 개발자가 없다면 결국 산업이 존속할 수 없으니 새로운 개발자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유지될 것이라고 본다.
다만, 새로운 개발문화에서 개발자는 이전 개발자들보다 원리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을 충분히 학습한 후에야 개발자의 영역에서 활동하게 되는 고급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이 책에서 소개하는 컴퓨터 동작원리를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좋은 개발자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고 싶다.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서후기] 처음 시작하는 SNS 디자인 캔바 (0) | 2025.11.12 |
|---|---|
| [도서후기] 라마인덱스로 배우는 데이터 기반 AI 애플리케이션 (0) | 2025.11.12 |
| [도서후기] CRYPTO AI (0) | 2025.10.26 |
| [도서후기] Do it! 커서로 시작하는 AI 코딩 입문 (0) | 2025.10.12 |
| [도서후기] LLM 프로덕션 엔지니어링 (0) | 2025.09.28 |


